‘잡것들 날뛰다’와 ‘버드’ — 번역은 반역이었다.

마일스 데이비스의 충격작 ‘잡것들 날뛰다’와 찰리 파커의 애칭 ‘버드’. 이 이름들의 진실을 파헤쳐볼게.

In a nutshell

    ‘잡것들 날뛰다’와 ‘버드’ — 번역은 반역이었다다

‘잡것들 날뛰다’와 ‘버드’ — 번역은 반역이었다다

마일스 데이비스의 충격적 작품 『잡것들 날뛰다』 (Bitches Brew)를 신문 연재 당시암컷들의 준동이라고 한문투로 옮겼으나, 점점재즈적 사고를 갖춰감에 따라 그것은 적절치 못한 번역이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퓨전이라는 새로운 개념, 즉음악적 잡것혹은음악적 범벅이란 그 중심 이미지를 앨범의 이름에서부터 그런 식으로 형상화해 내고 있는 것이다.

그 선구적 앨범은퓨전 재즈라는 음악적 합성체가 당시 던져준 충격 같은 것을 그같이 압축해 낸 것이다. 그 앨범이 발표되자마자 충격에 발칵 뒤집힐 세상을 미리 내다보기라도 한 듯…

변명을 해보자면 그 같은 말투는 신문이라는 양식화된 어투가 요구되는 매체에서, 나 나름의선택이었노라고 하고 싶다. 요약하면,잡것들 날뛰다보다는 한문투가 느껴지는 ——그래서 왠지 점잖아 보이는 것 같다는─암컷들의 준동쪽이 신문에 더 어울리지 않느냐는 것이 당시 나의 생각이었던 것이다.

잘 알다시피, 찰리 파커의 애칭은버드 Bird이다. 이것은 재즈에서는 기초 상식에 속한다.

당시 연재 때, 미 대사관 도서관에서 빌려 참고한 재즈 책에는 그 내력이나 연유 같은 것이 밝혀져 있지 않았다. 그래서 나는 그 애칭이 파커라는 불후의 재즈 뮤지션을 널리 기리기 위해 붙여진 일종의은유라고 믿고, 그런 식으로 기사를 맺었다.

그런데 재즈에 대해 __공부__를 해나가다 보니, 실은 그런 차원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이름에는 대단히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내력이 있었던 것이다.

그 내력은 빌 크로가 재즈 뮤지션들의 일화와 비화들을 집대성한 흥미진진하게 엮은 책 『재즈 일화집』 (Jazz Anecdotes)에 간단하게 언급되어 있다.

제이 맥샨 밴드 Jay McShann Band가 네브래스카 대학에서 일자리를 얻어 그곳으로 가던 중이었다. 한 농장을 지나칠 때, 운전사의 실수로 닭 한 마리를 치어 죽인 일이 벌어졌다. 바로 그 차에, 파커가 타고 있었던 것이다.

맥샨의 회고가 이어진다.

그러자 찰리가 운전사더러, 「차를 돌려. 저 얼간이 yard-bird 가 치였단 말이야」라고 일러주었지. 그리고 차에서 내리더니, 그 닭을 주워오더군.

목적지에 도착하자, 그걸 여관 여주인에게 주면서 이렇게 부탁했어.「저녁거리로 요리해 줘요」

이 얼마나 사소한 --- 괴짜, 즉 그 사회의 __아웃사이더__들이 적지 않은 예인(藝人) 집단에서는 충분히 있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해프닝인가!

그 뒤로 파커는 __버드__로 불리고 있다. 그 별명은 자유 또는 __초월__의 이미지와 직결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그의 음악과 참으로 멋들어지게 어울렸다. 그리하여 그 별명은 인구에 널리 회자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__번잡한 인간사를 훌쩍 뛰어넘고 있다__는 의미로 승화되어.

버드에 대한 추모는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의 일례로, 1989년 7월에 다섯 명의 재즈 뮤지션들이 파커를 기념하는 5중주단을 결성한 일이 있다. 그 캄보는 그 이름부터가‘버드’ 추모 5중주단 ‘Bird’Memorial Quintet이다. 그들이 발표한 앨범이 『찰리〈버드〉파커를 기리며』 (Tribute to Charlie (Bird) Parker)이다. 찰리 파커에 대한 후대인의 최상급의 예우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거기에는버드라는 애칭의 이미지 또한 한몫 단단히 힘을 발휘한 것이다. 그 작품은 같은 해에 발표된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영화 「버드」 (The Bird)의 사운드트랙으로도 쓰였다.

생시에는 불우하고 핍박한 삶의 조건들에 포위되어 있던 위대한 재즈 뮤지션버드에 대한 음악적 추모의 열기는 이처럼 끊이지 않고 있다. 우리는 뒤에인간파커에 대하여서도 집중적으로 살펴볼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129도 가지 착각한 데 대하여

Subscribe

Jazzaje의 정원에서 최신 글과 업데이트를 받아보세요.